텍스트 목록은 계층 구조가 있는 텍스트 블록을 읽기 쉽게 구성한 것이다.
이 페이지의 구성
특정 순서나 순서를 따를 필요가 없는 관련 텍스트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.
특정 순서로 항목을 표시하거나 계층 구조를 표시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.
콘텐츠에 적합한 유형의 목록을 사용한다.
모든 항목이 동등한 수준의 중요도를 갖는 경우에는 순서 없는 목록을 사용한다. 항목에 순서를 지정할 수 있거나 순위를 매기는 것이 가능하다면 순서 있는 목록을 사용한다. 모든 항목의 중요도가 동등함에도 순서 있는 목록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콘텐츠의 내용을 잘못 이해하거나, 특정 번호의 콘텐츠만 확인하거나, 순서를 건너뛰어 읽게 될 수 있다.
모범 사례 1
모범 사례 2
동일한 수준의 항목은 일관된 어투로 작성한다.
만약 첫 번째 항목이 서술식으로 작성되었다면 목록에서 동일한 수준의 항목은 일관되게 서술식으로 작성한다.
모범 사례
피해야 할 사례
문장 형식에 적합한 종결 부호를 사용한다.
서술식 목록의 가장 마지막 문장에는 반드시 종결 부호를 사용한다. 개조식 목록의 가장 마지막 문장에는 종결 부호를 생략할 수 있다.
모범 사례
피해야 할 사례
들여쓰기를 활용하여 계층 구조를 명확하게 구분한다.
글자 크기를 조정하는 것만으로는 서로 다른 수준의 항목을 구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. 글자 크기, 계층 구조의 수준을 고려하여 각 수준별로 적절한 들여쓰기 여백을 설정하여 계층 구조가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도록 한다.
모범 사례
피해야 할 사례
목록은 3수준 이내로 구성한다.
목록의 수준이 지나치게 깊어지면 항목 간 상하 관계를 이해하기 어려워진다.
모범 사례
피해야 할 사례
변경일자 | 변경 내용 | 리소스 |
---|---|---|
2025년 1월 15일 |
|
목록 유형에 적합한 태그를 사용한다.
시각적으로 목록의 항목이 글머리 기호로 구분되어 있다면 <ul>, <li> 태그로 목록을 마크업한다. 시각적으로 목록의 항목이 번호로 구분되어 있다면 <ol>, <li> 태그로 목록을 마크업한다.
list-style-type: none 스타일 지정으로 인한 접근성 문제에 유의한다.
목록 요소(<ul>, <ol>)에 list-style-type: none 스타일이 지정되었을 때, 일부 모바일 디바이스 스크린 리더에서 요소의 역할을 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 따라서 목록에 list-style-type: none 스타일을 사용한다면 목록에는 role=”list”, 항목에는 role=”listitem”을 사용하여 목록의 역할을 명시해야 한다.
필수 | 선택 | ||
---|---|---|---|
텍스트 목록 | .krds-info-list | 순서 없는 목록(decimal) | .decimal |
순서 없는 목록(dash) | .dash | ||
순서 없는 목록(hollow) | .hollow | ||
순서 있는 목록 | .ordered |